2016년 2월 22일 월요일

예술은 왜 존재하는가?

예술은 왜 존재하는가?
1. 희망을 위하여 - 그 존재의 아름다움
2. 외로움의 공유를 위하여 (너만 외롭지 않아)
3. 프로파간다 (어떤이유든간에 시대 정치맥락)
4. 사회의 재 균형 사회의 결핍을 채워주는 것
5.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 보여주는 것 (appreciate) 다르게보기/다시보기

나는 영화이론을 공부했고, 이 전시는 나에게 내가 배운 것들에 대한 재조명과 재현에 그 목표가 있다. 영화학교에서의 마지막 학년을 앞두고 내가 배워온 것들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몇몇 이론들에 착안하여 "언어-영상" "육체-영상"을 단순화한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이 영상의 전제는 1) 영상에도 몸이 있다 2) 영상은 언어이다 3) 언어는 언어 스스로도 사고한다 (이는 비단 영상언어만의 문제는 아니고 텍스트 언어 음악 언어 춤 언어 등 모든 언어는 그 스스로 사고하는 작용이 일어나곤 한다) 
내가 가상으로 설정한 이 전제 하에서 "영상-나" 는 "자아성찰"을 한다. 이 "자아성찰"의 과정에서 차용되는 것이 고전적인 동양철학 사상인 '논어'이다. 논어는 이미 그 자체로서 자아성찰의 훌륭한 도구가 되지만 왜 그것이 선택되었는가에 대하여서도 두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1) 작가 본인의 개인적 배경과 경험 - 하나.나는 한국인지만 나의 본성(family name)은 오래 전 중국에서 유래한다.(그러나 그것이 내가 중국인임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공자의 80대손으로 나를 정의하게 되는 순간 나는 고대 철학자와의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끌림'은 내가 논어를 자아성찰의 수단으로 택하게 되는 것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둘. '하나'의 이유로 작년(2014)년 여름 공자/공씨의 도시인 곡부를 방문했다. 이러한 여행은 나의 정체성의 한 측면에 대한 재인식이기도 하다. 셋. 공자의 가장 중요하게 여긴 가치 중 하나가 '호학 - 학문을 사랑하는 마음'이다. 그는 배움과 학문을 통하여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채울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이러한 배움에 대한 열망은 학자-공부하는 사람 으로 구성된 나의 가족적배경과도 연결이 되어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자아성찰이란 자기 자신을 되돌아 보는 일, 왜 자아성찰이 필요한가 하면 이는 자신의 현재 상황/과거의 상황/미래의 상황과 이상(믿음이나 가치 혹은 목표) 사이를 스스로에 대한 질문을 통하여 메꾸어 나가기 위함이라 판단하였고, 이에 가장 합당하다고 생각되는 두글자 '호학'을 공자가 던져주었기 때문이다. 2)런던에서 유학하고 있는 내가 종종 동양철학을 만나게 되는데, 그 중에 가장 자주 만났던 이가 바로 공자였다. 그는 '동상'으로서 학교(킹스칼리지 런던의 몬 도서관)에도 존재하고, 각종 컨퍼런스의 인기인사로서 등장한다. 동양인으로서 서양인의 관심과 애정을 받는 일에 대한 다른 차원의 존경심 그리고 다른 언어로서 표현된 철학이 다양한 해석과 번역을 통하여 소통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존경심마저(내가 이 곳에서 언어때문에 겪고있는 이질감이나 어려움과 함께) 드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나는 '스스로 생각하는 영상 언어' 를 영상을 통하여 이야기한다.
전시는 세가지로 구성되는데,
1) 이를 상징할만한 전시품 (꽃과 연필로 사실상 장식적 효과를 가진다)
2) 에세이집(영상에 대한 설명과 사진 그리고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다 - 핑계와 보조설명격이자 글을 쓰는 학생으로서의 본분을 잃지않기 위함이다)
3) 영상 - 가장 주요한 작업
으로 구성 된다.

영상의 경우 5~6분 이내로 
A -> B -> A' 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A와 A'는 텍스트(논어와 나의 말의 결합) 과 사진의 몽타주로 구성되며
B는 영상으로 그날밤 꿈을 꾸었다는 텍스트로 시작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