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31일 일요일

Rainbow

Rainbow

무지개 동화

무지개를 보고 동화를 쓰지 않는 것은 무지개를 내려 놓은 하늘에 대한 예의가 아닌 것 같았다. 둥근 아치 모양의 끝은 보이지 않았지만, 가장 높은 꼭대기에서 부터 이야기거리를 잔뜩 들고 줄지어 내려오는 '작고도 큰 것들'이 있었다.
이 '작고도 큰 것들'은 말하자면 요정같은 존재라서, 내가 무지개를 볼 수 있는 기숙사 7층에서는 아치 위를 종종걸음으로 걷는 개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동차보다도 큰 제법 묵직한 모양새를 한다.
이 요정같은 것들이 들고오는 이야기거리란 무지개 색처럼 달콤하고 반짝이지는 않지만, 설레임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를 옮기는 얼굴엔 불안감도 가득하니 내가 얼른 무지개가 사라지기 전에 이야기를 하나 빼내와서 대신 적어내려 가기라도 하는 일이 옳은 일이라 생각했다.
무지개와 무지개 요정과 하늘에 대한 예의를 지키기 위해서.



#1
소녀가 태어났을 때 이미 소녀는 혼자였다.
소녀를 돌보아 주는 보모와 수행기사와, 소녀가 가장 사랑하는 폴이 있었기에 소녀는 외로움을 알지 못했다. 싸우거나 귀찮게 굴거나 잔소리하는 부모님이 없으니 얼마나 행복한지 모른다고 소녀는 생각했다.
소녀는 자신의 시간을 스스로 사용하는 법을 알았다. 아침에 일어나 가볍게 스트레칭을 20분, 또 씻는데에는 30분 정도, 식당까지 내려가는 데 7분, 식사하는 데 35분, 일어나서 방으로 돌아오는 건 9분정도로 창문이 난 길을 따라 걸어온다. 보모가 추천해주는 옷으로 갈아입는데 12분 그리고 예쁜 구두를 신고 폴과 함께 또각또각 소리를 내며 걸어 대문을 열 때까지 또 20분. 그렇게 시간을 맞추고 나면 소녀는 스스로가 자랑스러워졌다. 쓸데 없이 보내는 시간이 단 한 순간도 없다니! 아마 나는 훌륭한 사람이 될 것이야! 소녀는 늘 그렇게 생각했다.
대문을 나선 소녀는 갈 곳이 없었다. 소녀는 태어났을 때 부터 늘 소녀였다. 그래서 어디에 가야하는지도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소녀는 무료하지 않았다. 어떻게 하면 폴이 기뻐할지 궁리하다가, 점심 메뉴를 보모와 함께 정하고 오늘의 요리를 곰곰히 생각하다.
배우고, 이제는 내일의 계획을 세우면 된다. 소녀는 소녀의 삶이 완벽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그 누구도 방해하지 않고, 자유롭고, 외롭지않고 사랑도 있다면 불필요한 것은 필요가 없다.
하지만 소녀는 그 생각을 너무 자주 했다.
자기 자신이 행복하다고, 그 삶이 완벽하다고, 그 누구보다도.... 그렇다고 생각했다.
비가 오는 날에도 소녀는 대문 앞에 앉아 폴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오늘 소녀에겐 두명의 보모와 세명의 수행기사가 있다. 빵을 쥐어주고 다른 대문으로 내모는 소녀의 완벽한 삶이 반복된다.

[2013년 언젠가의 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