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29일 수요일

Matilda


Matilda! 마틸다!
어릴적 어디에선가에서 꺼내온 이름, 시간이 
로알드 달 표지에 그려진 마녀와 이토록 총명하고 사랑스러운 아이를 헷갈리게 했나보다.

두시간 반정도 했을까, 너무 짧게 느껴졌다. 
싸게 문화생활이나 해볼까 했던 생각은 
결국엔 5파운드짜리 오퍼를 받지는 못하고 30 파운드에 그걸로 주세요 라고 말했지만 내 옆으로 뛰어다니는 배우들과 마틸다의 눈동자마저 보일듯 한 거리에 만족스러웠다. 다음에 또 보러 올거다. 뮤지컬은 두번씩 세번씩 볼수만 있다면 또 보고 싶다. 그리고 그 자리나 그날의 기분 관객의 분위기가 경험을 좌우한다는 점이 영화와 또 다르다. 정말로 이런 '극'은 관객을 무대위로 끌어온다. 
노래도 좋았다. 2부 초반에 나온 when I grow up, 선생님의 ...not much but enough, 그리고  명랑한 마틸다의 넘버들, miracle까지. 아직 제목은 다 모르지만 찾아들어야지.
그리고 소름끼쳤던 건, 무대다.
그 정도는 아니라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Abcd를 가르쳐주는 부분에서 입을 다물지 못했다. 정말로 창의력과 상상력과 총명함! 'Clever!' 이 가득한 작품이었다.
극의 구성도 대단하다. 뮤지컬은 한끗차로 좋은 노래도 졸리게 들릴때도 있고 난잡하게 느껴질 때가 있는데, 깔끔하게 평행하는 상황들이 마지막에 종결되는 것까지도 멋지다. 엔딩선택도 그렇고, 러시아인만 조금 애매한가? 아니 그 마저도, 연기 노래 무대 구성 연출이 다 맞아 떨어졌다. 유쾌하고 뭉클하고 귀엽고 감동적인 뮤지컬 마틸다.
나의 어린시절을 함께한 로알드 달도 대단하고, 영국도 런던도 ! 정말 확실한 기분전환이다. 다음주는 찰리나 라이온킹을 봐야지. 
마틸다는 그리고 빌리를 보면서도 드는 생각이지만, exceptional한 그들이 어떻게 스스로를 무대위에서 펼치면서도 조율할 수 있는지 정말로 대단하다. 그건 나이의 차원이 아니라 프로의 세계다. 몇살인지 가늠할 수 없지만, 그녀들 그들은 웨스트엔드와 브로드웨이를 누리면서 프로로서의 책임감을 다한다. 그래서 전 세계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나도 감동을 받는다.
지금 런던을 오는이에게는 뮤지컬 마틸다를 추천하고 싶다

2014년 1월 28일 화요일

Film, 밀드레드 피어스

Everything / shot / cuts / camera movement is motivated by Something

Because it's Chosen 

Internal:external
Interior:exterior
Limit:represent
Influential
Sucess:fail

밀드레드 피어스
Classical Hollywood Cinema
여성이 중심이 된 연대기
마리아 브라운이거나
스칼렛 오하라거나
밀드레드 피어스거나

읊을 수 있을 듯한 대사나 상황은 둘째치고 '욕망'이 어쩜 저렇게 그려질 수 있을까. 
왜 가정을 위해 가족을 위해 희생한 독립적인 여성은 자신의 이상과 현실사이의 괴리감에 괴로워 할 수 밖에 없나, 그리고 그 유일한 명분-사랑과 믿음-은 왜 여성의 노력에 뒷통수를 치나, 공허한 성공에 왜 여성은 마냥 행복할 수는 없나, 왜 개인의 행복이라는 가치는 특히나 어머니로서 여성으로서의 행복은 늘 차선에 서야 미덕이 되나, 왜 그 노력을 무의미하게 하나?
그래서 마리아 브라운과도 닮아있고 수많은 연대기의 여성 주인공과 닮아있다. 

Tourist




London, walk, shower, today

2014년 1월 26일 일요일

영화 4 소설1 지구를 지켜라 / frozen / 이터널 션샤인 / 데이지 /인간실격

지구를 지켜라 / frozen / 이터널 션샤인 / 데이지 

네명에게서 추천받은 네편의 영화
지구를 지켜라는 차마 끝까지 보지 못했고
이터널 션샤인은 중간까지 보다가 낮잠을 자고 나서 끝까지 보았고
그리고 연달아 새벽까지 데이지를 보았다

프로즌은 점심겸 저녁과 함께 보고 들었다

평을 하지는 않고 감상만 쓴다면

지구를 지켜라는 끝까지 봐야 알겠지만,
나에게는 달갑지 않은 그로테스크함이 있었다. 그게 분명 매력적인 부분이 있겠지만 서도...
계속 그 물파스 장면이 생각나 다른 것에 집중이 되지 않아, 신하균이 왜 저러고 있지 싶다가도 ㅠㅠ 지구를 지키기는 무슨 지구에 있긴 너무 위험하다. 실험적이라고 해도 될까?

프로즌은 예쁘고 노래도 좋고 어릴때 보았다면 매일매일 돌려보았을것 같은 디즈니의 공주시리즈 겨울판!! Let it go! 이거 보고 위키드 영상보고 다른 뮤지컬 노래까지 찾아듣게 된다. 뮤지컬 보고 싶다.

이터널 선샤인, 분명 좋은 영화인데 내가 졸렸던게 문제다. 아니면 절절한 로맨스에 대한 공감대가 없어 그런가? 기억 속에서 도망치는 발상이 멋지고, 잊혀지고 무너지고 되돌아가는 여정의 토대가 로맨스라는 것만 빼면 인셉션이나 바닐라 스카이도 생각난다. 내가 좋아하는 장르라고 생각했는데, 짐캐리와 줄리아 로버츠를 보면서 왜 졸수밖에 없었던 거지?? 우리나라의 정서로 바뀐다면 더 몰입할 수 있었을 지 모른다. 



데이지, 어게인 전지현! 그리고 정우성, 그 둘이 그야말로 아름다워서, 사실은 삼각관계인데, 아니 정우성을 두고?? 심지어는 순수하고 착한 마음을 지닌 순정파 킬러인데?? 아저씨 경찰(이성재)을 기다리는 청순가련 전지현이러니. 암스테르담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서 이번에 네덜란드에 교환학생온 친구에게 추천해주고 싶었다. 마약, 총성, 순수 로맨스 까지, 몰랐는데 감독이 홍콩사람이구나. 




여전히 영화를 보고 무엇이 좋고 중요한지를 생각하는 훈련이 너무 부족하다


다자이 오사무 인간실격을 다 읽었다
사양은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

2014년 1월 22일 수요일

2014 Trends

Brand you 2014: five personal branding tips for the year ahead
http://www.theguardian.com/media-network/media-network-blog/2014/jan/06/brand-you-2014-personal-branding-tips

Sharpen your narrative

What do you say when someone asks: "what have you been up to lately?" Don't waste the opportunity, as so many do, with a ridiculous platitude ("not much" or "same old, same old"). It's important to make sure you always have something to contribute to the conversation, which shows you're staying current and interested in new challenges. Talk about a charity you've been volunteering for, or the most exciting project you're doing at work.

Rekindle old ties

When it comes to rebranding yourself, sometimes the people closest to you are the toughest sell. They know you as X, so how is it possible that you could be Y? One professional reinvention secret that you might want to tap in 2014 is rekindling "dormant ties" – a phenomenon Wharton professor Adam Grant has written about.Dormant ties are people you used to know, but haven't been in touch with for quite a while. You still have a bond with them from days past, but since it's been five or 10 years, they expect that you'll have changed and grown. In the interim, they've picked up new contacts and networks, and may be willing to help you as you pursue even greater opportunities (and, hopefully, you can return the favour).

Seize on an emerging trend

When you're first building a name for yourself, it's hard to be a generalist. If you want to become known as an expert in sports or politics, there's infinite competition. But if you pick an emerging trend, you often have a clear path forward.As technology thought leader Robert Scoble told me in a recent interview: "If you pick a single niche that isn't well covered – like Google Glass - and you have an authoritative blog, if Google Glass takes off, all of a sudden you're getting invited to press conferences and other events about wearable [technology]. It's a lot easier to get known as a person who covers a niche." What's the emerging trend you can explore?

Learn one new skill

Of course, we'd all like to learn Mandarin, travel the world, and become master golf, tennis and cricket players. If we have jobs and families, we can't do all those things in 2014, but that doesn't mean you can't pick one to focus on. Choose one specific new skill and make a commitment to master it this year. At the start of 2013, I had never conducted a webinar – by the end of the year, I had run nearly 20. Pick your focus area, and you can do the same.

Start creating content

You're always in a stronger position to negotiate terms and conditions when someone comes to you, rather than when you go begging at their door. The best way to ensure they do is "inbound marketing" or "content marketing", ie the practice of creating content that showcases your expertise and is helpful to others.There are no excuses anymore; starting a blog is free thanks to sites like Wordpress. Don't like to write? Create a video podcast using your smartphone, or simply monologue into the voice memo function of your phone (as social media guru Gary Vaynerchuk does) and pay someone to transcribe it.The economy is picking up, and the internet puts more tools at our disposal than ever to meet new people, connect with past colleagues, learn skills for free, and share our expertise. It's time to make the most of it in 2014 by building your personal brand and attracting the right kind of opportunities.Dorie Clark is a marketing strategist who teaches at Duke University'sFuqua School of Business. Find out more about her new book,Reinventing You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and follow her on Twitter @dorieclarkGet more articles like this sent direct to your inbox by signing up for free membership to the Guardian Media Network – this content is brought to you by Guardian Professional.Tags: Careers

The Three from the Gas Sation

초기 유럽의 유성영화,
에밀야닝스가 주연하던 독일의 20년대 무성영화는 이미 편집, 카메라 무브먼트 에서 영화를 예술양식으로서 있는대로 발전시킨 전성기를 맞이했는데, The Last Laugh만 하더라도 실험적인 카메라의 활용에 음악과 퍼포먼스까지 어우러지니 지금 봐서도 전혀 지겹지 않은 작품이었다. 재미있게도 그 당시엔 영화로 제작된 작품들이 세계를 넘나드는데 더 자유로웠다. 하지만 유성영화의 시대가 오면서 '언어'가 장벽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유럽의 유성영화가  만약 독일작품이 독일에서 히트하고 프랑스로 넘어갈때 프랑스어를 할 수 있었던 배우들은 그대로 쓰고 다른 배우들은 교체해 가면서 영화를 다시 제작한 점은 특이하다. 그 와중에도 언어가 중요하지 않은 춤추는 장면들은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기는 했는데, 아무리 그러한들 다시 촬영하는데에는 그 나라에 맞는 연기지도자를 새로 고용하는 듯 비용대비 고효율의 방식은 아니었던 모양. 그래도 1930년대의 유럽영화가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버젼으로 만들어졌다는 자체가 흥미롭다. 그때야 말로 언어 능력이 정말 능력이라나 뭐라나.... 아무튼간에 오늘보게된 주유소의 세친구? 번역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뮤지컬과 가벼운 오페라의 중간격인 오페라타..? Operetta 형식을 띈 유쾌한 코미디/로맨스 극이다. 파산 이후 주유소를 하게된 남자 셋 모두가 주유소에 온 한 여인을  좋아하게 되는데, gender identity가 재현된 방식만 해도 상대적으로 멍청하고 우스꽝스러운 남성과 발랄하고 고집있는 여성이 이 시대에서 받아드려진다는 것, 정말로 45년 전 규제가 없던 시대의 영화는 더 발칙하기도 하고 발랄하기도 하다. 

2014년 1월 21일 화요일

인간실격 중에서

인간실격 - 다자이 오사무 p96

넙치의 말투는, 아니 세상 사람들의 말투는 이런 식으로 복잡하게 꼬여 가지고 어딘가 뚜렷하지 않고 탁한 구석이 있는데, 언제나 빠져나갈 구멍을 파놓고 있는 듯한, 미묘하고 복잡한 부분이 있어서, 거의 불필요한 경계와 수도 없이 이루어지는 술책과 흥정에 나는 언제나 너무 당황한 나머지 될 대로 되라는 식이 되어, 끝내는 '우스운 행동' 으로 위기를 모면하거나 또는 아무 말없이 상대의 의견을 수긍하여, 모든 걸 네 뜻대로 하라는, 이른바 패배주의자의 태도를 취하게 됩니다.

...


이상은 해파리 현실은 넙치

화요일 영화

The Secret Life of Walter Mitty today, 12:35 Leicester Square VUE. 

아무도 광고를 보지 않았다. 좀 늦었다 싶게 들어간 screen 8 은 막 워너브라더스의 로고가 나오는 중이었고, 영화관엔 아무도 없었다. 아무도 없어도 영화는 그대로 틀어주는구나 싶었고, 새삼 아무도 없는 영화관에서 틀어질 영화도 쓸쓸하겠다 싶더라. 어찌보면 전력낭비지만, 계약한 사항이 있으니 틀어져야겠지? 정말 아무도 안오면 어떻게되는거지? 내가 들어가 앉고 영화가 시작하고 한 이삼분 뒤에 어떤 사람이 한명 더 들어와 앉았다. 그렇게 둘 한가한 화요일 오후에 벤스틸러의 영화를 봤다. 영화는 재미있다. 누구나 한번쯤 꿈꾸는 일상에 무지막지하게 훈훈한 엔딩까지 - 그런데 의외로 그 당연한 엔딩이 찡하다. 히말라야, 그린랜드, 오로라(크레딧..)를 넘나드는 로케이션과 그만한 가치가 있는? 화려한 카메라 앵글, 편집 - 화려한 화면. 이런 말들이 크게 의미가 있을까. 속시원한 화면에서 충족되는 대자연의 경관... Capturing the magnificent landscapes! 그리고 심란한 주말 오후 채널을 돌리다 우연히 OCN에서 마주하면 만족스러울 만한 스토리가 잘 버무려져있었다! 영화를 만든다면 이런 이야기가 만들고 싶은, 영화를 본다면 이런 이야기가 보고 싶은. 그래서 좋았다! 

2014년 1월 19일 일요일

Il Mare/If Only

뒤늦게 보게된 영화

시월애

이정재와 전지현이 나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지친 주말을 달랠만한 영화를 찾다가 틀게되었고 역시나 좋다. 영화를 있는 그대로 못즐기고 왜 크레딧에 저샷이 색이 앵글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시덥잖은 단어들이 몰입을 방해하는 것이 불편하다. 영화 중반에 가서야 침착할 수 있었다. 영화를 분절해서 보면 결국 중요한걸 놓친다 그리고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드는데, 훈련이 부족하다. 이정재가 90년대 말의 멋진 남성 - 와인을 마시고 파스타를 요리하는, 아버지와의 갈등이 있는 건축학도 - 를 연기하고 전지현이 일도 사랑에도 지친 , 심지어는 밀레니엄의 전야에도 만화방 알바 대타를 해주고 있는 , 평범한 사람을 연기하지만 그래도 전지현이다. 영화를 보기전에 천송이 역할로 나오는 드라마를 보고나서 봐서 그런가, 아무튼간에 청순하고 예쁘다! 일마레라는 바닷가의 집과 우체통으로 연결된 두 시간 그리고 그 각각의 시간에 사는 남녀, 개인적으로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나미야 잡화점의 비밀도 떠오르고 시간을 테마로한 작품이야 많겠지만, 과거와 현재가 편지를 주고 받으면서 각각의 고민을 들어준다는 점이 비슷하기도 하다. 누군가에게 있을 법한 아날로그적인 판타지를 아름다운 영상이 충족시켜주는! 영화같은 이야기 그런 영화. 종종 또 보고 싶을만큼 좋다

그리고
한편 더
 IF ONLY
나는 슬픈영화라길래 불치병에 걸려서 죽는 이야긴가 싶어 계속 남자주인공이 치매가 아닐까 내내 신경이 쓰였는데 전혀 아니었다. 제니퍼 러브 휴잇이 영화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사랑스러워 진다. 후반부의 깜짝 이벤트는 그야말로 '볼거리'를 배치해놓은 듯. 전반적으로 나쁘지 않았지만 , 정말 펑펑울정도로 감성을 자극하는 영화를 기대했다. If only 아니면 7번방의 선물을 보려했는데, 이 영화는 울컥하긴 하지만 글쎄다. 또 한편의 런던에서의 영국남자 미국여자 로맨스가 아닌가. 이것도 love~ love ~ love




2014년 1월 17일 금요일

The purple rose of Cairo



The Purple Rose of Cairo 
- 우디앨런 특유의 분위기 - 판타지, 재즈풍 음악, 결말과 로맨스까지 - 를 충분히 가지면서도 뉴욕출신 정신이상자가 나오지 않는 우디앨런의 영화라고(누군가의 블로그에서 읽었다) 하는데, 당시 미국의 상황 20~30 년대 대공황, 가난하고 일자리도 없는 사람들과, 카이로의 붉은장미라고 하는 헐리우드식 영화, 현실과 판타지라는 말을 붙여야 하나? 그렇게 거창한 생각은 들지 않는다. 그래도 사회, 역사에 대한 고려가 있는데, 미드나잇인 파리처럼 또 과거를 향한 향수로도 볼 수 있고.. 판타지보다는 현실을 택하는 세실리아의 결정은 사실은 완전한 판타지나 완전한 현실이 아닌 현실 속의 판타지를 택한건데 결국 저버렸지만..  인상적인 장면은 영화의 주인공이 스크린에서 나와버리자 나머지 조연들은 영화를 진행할 수 없으니 잡담에 포커를 나누는 모습! 영화 속 세상과 영화 밖 세상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사람들은 영화를 왜 보는 걸까? 결말도 알고 똑같은 이야기가 반복될텐데 왜 보고 또 보고 싶어하지? 부터 시작해서 무엇을 더 선호하는지는 다른 차원의 문제로 남는! 영화적인 경험 (cinematic experience) 은 여행이나 놀이감 처럼 - 결국 또 영화 초기 영화을 정의하던 cinema as attraction 과도 연결되는 지도??
그럼 또 영화적 현실의 두가지 차원 -1) 리얼리티를 구성하는 stylistic / manipulated/ created reality 와 2) Bazin 의 존재론적 현실 onthological reality 까지 연결될 수 있을까? 



2014년 1월 15일 수요일

2014

이제야 2014년이 시작된 것 같다
새삼스럽긴 하지만, 지난 11월 네덜란드를 다녀온 후로 좀비같은 생활이 어제야 비로소 끝이 났고 '새해'라는 좋은 계기를 삼아 생각을 정리할 시간이 조금은 생겼다



*Note
- 영화의 마술사 Georges Melies  The Eclipse 
상상력이 역사가 되는 시기의 더 뛰어난 상상력 

- 에디슨의 Kinetoscope 
동전을 들고 줄지어 '신문물'을 체험하려는 사람들을 상상해본다. 지금으로치면 IMAX/4D 를 경험한 것 같았을까?

- 데이비드 린의 Brief Encounter(1945)
뭐라도 써야했기에 다큐멘터리적(기록영화같은?)인 방식이 접목된 멜로드라마가 주는 영화의 사실적인 표현이 영국의 중산층 계급, 여성의 재현 (representation of class/gender) 과 어떤관계에 있는지 썼지만, 솔직히는 불륜도 로맨스라고 말하고 있는 디테일한 감정표현이 놀라운 영화 그 이상의 감상은 없었다. 연기와 음악이 한 몫 했던 클래식 명작..., 감독이나 그 시대 사람들이 지금에 와서 쓰여진 관련 논문을 읽는다면 화낼지도 모르겠다.

- 파스빈더 감독의 The Marriage of Maria Braun
반면에 이 영화는 파헤치면 파헤칠 수록 할 말이 많아지는, 토론할꺼리가 많은 영화처럼 느껴졌다. 처음봤을 때랑 두번째 봤을 때 확연히 다르고 대사나 디테일이 다시금 눈에 들어왔을 때 또 한번 놀란다. 특히나 마리아가 친구에게 문득 찾아가 웃으면서 이유없는(물론 모두가 그 이유를 아는) 눈물을 흘리는 장면, 처음엔 전혀 들어오지 않았는데 돌려보니까 또 다르게 보인다. 이 영화와 쿠바 영화인 Memories of Underdevelopment 를 가지고 국가의 트라우마를 서술하는 방식을 비교하는 것이 주제였는데, 두 영화다 보고 또 보는 재미가 있더라. 

- 그리고 셜록 시즌3 아직 1화 밖에 못 봤지만 셜록을 보고나서 학교를 가니까 미로같은 학교 건물 뒷편이 셜록 분위기.. 비가 내린 후가 더 어울린다. 








2014년 1월 11일 토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