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28일 화요일

Film, 밀드레드 피어스

Everything / shot / cuts / camera movement is motivated by Something

Because it's Chosen 

Internal:external
Interior:exterior
Limit:represent
Influential
Sucess:fail

밀드레드 피어스
Classical Hollywood Cinema
여성이 중심이 된 연대기
마리아 브라운이거나
스칼렛 오하라거나
밀드레드 피어스거나

읊을 수 있을 듯한 대사나 상황은 둘째치고 '욕망'이 어쩜 저렇게 그려질 수 있을까. 
왜 가정을 위해 가족을 위해 희생한 독립적인 여성은 자신의 이상과 현실사이의 괴리감에 괴로워 할 수 밖에 없나, 그리고 그 유일한 명분-사랑과 믿음-은 왜 여성의 노력에 뒷통수를 치나, 공허한 성공에 왜 여성은 마냥 행복할 수는 없나, 왜 개인의 행복이라는 가치는 특히나 어머니로서 여성으로서의 행복은 늘 차선에 서야 미덕이 되나, 왜 그 노력을 무의미하게 하나?
그래서 마리아 브라운과도 닮아있고 수많은 연대기의 여성 주인공과 닮아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